









식물성 오메가3 마케팅의 진실
우리 몸에는 DHA가 더 많아서 식물성을 먹어야 한다던데? 그런 원리라면 신체에는 염증을 유발하는 아라키돈산(ARA)이 제일 많으므로 아라키돈산을 먹어야해요. 또한 뇌에는 DHA가 많으니 DHA가 더 좋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울증, ADHD의 뇌관련질환에서는 DHA는 효과가 없었고 EPA에 효과를 보였죠.
DHA가 EPA로 전환되기 때문에 DHA만 먹으면 된다? EPA가 DHA로 전환되는 대사경로는 있지만 DHA가 EPA로 전환되는 경로는 없어요. DHA가 높아지는 것으로 인해 EPA의 대사(EPA->DHA)가 둔해지며 EPA가 증가되는 것 처럼 보이는 것일뿐이죠. 전환된다 해도 전환율은 1.4~12%로 아주 소량이에요.
동물성 오메가3에는 중금속이 많아서 꺼려져요. 어류나 조류보다 해조류에 중금속이 있을 확률이 적은건 맞지만 식약처에서 중금속 기준이 엄격히 설정되어 있고 기준치를 넘은것은 상품으로 만들지 못하도록 관리가 잘 되고 있습니다.
당뇨, 중성지방, 암, 심장질환에 있어서 DHA보다 EPA가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보였고 황반변성, 안구건조증, 알츠하이머 연구에 DHA만 단독으로 쓰이지 않았어요.(임산부 연구 제외)
어느것이 더 좋다기 보다 효능적 부분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각 섭취해주는게 좋아요. 임신 초기나 출산 한 달전에는 EPA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출혈이 멈추지 않을 위험이 있어 식물성 오메가3를 섭취하거나 동물성 오메가3 섭취를 중단해야 합니다.